부흥사연수원

CYBER SCHOOL OF THEOLOGY

부흥사연수원

제목현대 부흥운동의 고찰 2022-07-01 14:50
작성자 Level 10

현대 부흥운동의 고찰

1.부흥 운동이 일어난 역사적 상황




가. 신학사조




19세기 말부터 20세기에 이르러 과학문명이 급속히 발전하여 이성의 힘이 팽배하게 되었다. 그때의 신학사조(思潮)는 헤겔의 영향을 받은 신학자들은 대체로 성서의 계시성을 부정하고, 칸트의 영향 아래서는 그의 회의론적 인식론의 영향으로 그리스도의 초월성을 부정하기에 이르렀다.(이 만신. 청파. 교회성장과 부흥회. p.52. 1993.)

* 사조(思潮 명사>한 시대의 일반적인 사상의 흐름)




① 헤겔(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

독일의 관념론의 권위자이다. 철학의 체계를 세운 사람이다. 튀빙겐(178-1793)에서 공부를 하였고, 예나와 베른 대학교를 포함하여 여러 대학에서 교편을 잡았다가, 베를린 대학교의 철학교수가 되었다.(1818-1830).

헤겔은 실제론(실체가 정신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보는 견해)과 주관적 관념론(실체는 개인의 의식이라고 보는 견해)을 모두 배격하였다.

헤겔은 모든 경험이 인식자(the knower 알고 있다, 이해(체험)하고 있다, 인지하다, 분간(식별)하다,)와 인식대상(the known 알려진, 이미 알고 있는)의 통일성을 전제한다고 주장하였다.



헤겔은 종교란 단순히 철학적 진리를 표현하기 위한 상상력이 풍부하고, 생생한 방법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그의 입장은 범신론과 아주 유사하였다.(강 병도. 기독 지혜사. 교회대사전. 3권 p798. 1994.)




② 칸트(Immanuel Kant 1724-1804) 독일의 철학자. 프로이센의 쾨니히스베르크대학에서 경건주의 집안에서 출생하여 일생을 그곳에서 보냈다. 1770년부터 대학교에서 논리학(論理學)(바른 사고의 형식 및 법칙을 연구하는 학문)과 형이상학 (形而上學)(형이상의 존재를 연구하는 철학의 부문, 무형학(無形學))교수로 재직하였다.

칸트의 연구 목적은 지식을 회득함에 있어서 이성이 작용하는 방식과 (칸트에 따르자면) 논리학과, 수학과, 물리학에서 지성이 가지고 있는 선험적(a priori) 지식이, 정당화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또한 인간의 자유라는 개념을 유지하고 도덕의 참된 본성을 설명하는 것도 그의 목적이었다. 하나님에 어떤 지식도 불가능하다는 간트의 견해는 프로테스탄티즘에 극단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리하여 신학은 인간학으로 바뀌었다. 슬라이막허의 낭만주의와 리출의 윤리적인 종교도 칸트의 견해에 기반을 둔 것이었다.(강 병도. 기독 지혜사. 교회대사전. 3권 p299. 1994.)




*자유주의: 합리주의적 바탕에서 기독교와 성서의 초월성을 부정하고, 인본주의적 바탕에서 신학을 형성함으로써 전통적 기독교 신학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성서에 대한 역사 비평: 성서를 토막토막 해부하고 해쳐 감으로써 그리스도교 신학은 인간 정신의 추상에서나 이룩되는 것이 아니면 인간 이성의 합리성에서 찾아야 한다.




*초월성의 배제: 그리스도교의 신학을 철저하게 인문주의(humanism)의 틀속에 집어넣었으며, 과학주의는 인간의 과학정신과 배타되는 어떤 신학도 용납하지 못하는 인문주의(Humanism)에 사로잡혀 있었다.

(1),다윈의 진화론: 절대적 진리로 받아들여졌다.

(2),성서의 창조론: 퇴각 되어야 한다.

(3),진화론: 성서해석의 원리로 일어나야 한다.




이때의 신학적 분위기는 과학주의의 권위 아래 교회들은 창조론보다 진화론의 가설아래서 성경을 해석하였다. 그러므로 종교개혁에서 부르짖었던 성경의 절대권위는 역사주의의 심판앞에서 갈래갈래 찢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기독교 이해는 비교 종교학적이나 종교사학적 차원에서 종교중의 하나로서 연구되거나 종교 심리학적 분석으로 연구되거나 윤리종교로서 이해되는 철저한 인문주의의 여과를 통해서 문화 종교현상으로 이해되었다.






③ 하르낙(Adolf Von Harack)



1899-1900년에 베를린 대학에서 강의한 “기독교의 본질”은 인간 지성과 역사의 진보에 대한 낙관주의 신관, 세계 종교와 문화, 신앙과 이성, 하나님의 의와 지상의 권세, 정치와 종교등의 연속성에 대항 신뢰, 사랑과 평화의 나라가 유토피아가 아니라 현실적 사회로서의 희망 등으로, 인문주의적 자유주의 신학의 화해시대를 대변하고 있다.







④ 칼 바르트

1918년 출간된 칼 바르트의 “로마서 주석”에 의해 절대 타자로서의 하나님을 강조하고, 신과 인간의 불연속성을 전제하는 계시신학을 부르짖게 되었다.

이 같은 입장에서 형성된 “신 정통주의”는 자유주의 신학에 도전하고 계시신학을 주장하였으며, 성서를 계시의 책으로 보기 보다는 계시에 대한 증언으로 해석하여, 계시의 객관성의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명하지 못함으로써, 복음주의 운동은 신 정통주의 운동으로 만족하지 못하였다.







나, 신 복음주의 운동




자유주의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근본주의 운동은 미국 교회에 새로운 각성을 일으켜 교회 부흥과 복음전도, 해외 선교에 큰 자극이 되었다.

신 복음주의 운동은 1948년 오켕가 박사가 퇴조한 편협주의적 근본주의를 초극하려는 시도에서 새로운 단어를 도입하였다.



신 복음주의 운동의 대표적인 인물은 오캥가를 비롯해 칼 헨리, 에드워드 카아넬 등이며, 이들이 지향하는 바는 근본주의의 부정주의를 지향하고, 보수신학의 우수성을 학적 탐구와 변증으로 증거하기 위하여, 복음주의 신학의 학문적 연구와 전파, 근본주의의 윤리적 퇴조로부터 탈피하여 복음의 사회, 윤리적 가치에 적극성을 갖게 하였다.







다, 현대 복음주의의 동향




20세기 후반 자유주의의 물결에도 불구하고 복음주의적 전통을 이어가려는 복음주의는 아직도 교회의 주류 세력을 이루고 있다. 1957년 프린스턴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74%의 신교 목사들이 신학적 입장을 보수주의 또는 근본주의 신학을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3)복음주의 신학자들



①,Herman Dooyeweerd:이성적 사고에 대한 초월적 비판을 제기하여 본능적인 종교적 근거를 발굴해 내야 할 것을 역설하였다.




②,Conelius Van Til:칼 바르트를 비판하는 입장에서 복음주의 신학을 변호하면서 16권의 저술을 통해 신 정통주의와는 구별되는 철저한 보수주의 전통적 기독교 옹호에 공헌하였다.




③,Carl F. H. Henry:현대 제 신학의 배경과 논점을 비판하면서 계시 신학으로서의 성서적 기독교 신학을 주장하였다.

4)최근 들어 주목할 만한 복음주의적 화합은 1966년 베를린 세계 전도 대회로부터 이야기 할 수 있다.







2,부흥운동의 발전과정




가,빌리 그래함을 중심한 대중전도 부흥운동




현대의 서구 사회는 진리의 불신임을 향해 나아가고 있으며, 진리가 설 자리가 없다는 사실을 의심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1949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전도대회가 열린 기간 중 이제까지 볼 수 없었던 기도운동이 일어났으며, 전도대회가 3주간의 계획이 연장되어 8주간이나 계속되었다. 이후로 세계의 지도적 전도 부흥사가 되었다.

1950년 가능한 모든 수단을 통해 예수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TV, 영화, 책, 잡지등 그 밖의 여러 가지 전도사업을 통해 복음을 전하며, 그는 2차대전 후 전 세계의 5대양 6대주를 누비면서 10만 단위의 전도 집회를 끈임없이 계속하고 있다.




빌리 그래함은 기독교인은 두가지 책임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ㄱ,인간이 근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것.

ㄴ,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 기독교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




*빌리 그레이엄(William Franklin Graham(\\\\\\\"bi-lly. 1918- )

노스캘리포니아 주에서 태어나 밥존스대학교, 포로리다 성경학교, 일리노이 주휘튼대학을 나왔다. 침례교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1943년에 새로 설립된 기독교 청소년단의 초대 전도사가 되었다. 1948년 미니애폴리스시 노스웨스턴대학 학장으로 있는 동안에 로스 안젤스 전도대회를 열어 명성을 얻게 되었다.

빌리 그레이엄 복음 전도협회를 세우고 미니에폴리스에 본부를 두었다. 1954년 런던 대 전도대회를 3개월 동안 열었다.

1954년 이후로는 찬송인도자 배로우스, 가수 시어와 그리고 동역자 팀을 데리고, 세계 도처에서 전도대회를 열었으며, 개인의 신앙의 결단을 강조하였다.

1950년에는 라디오 방송에 ‘결단의 시간’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갈등의 영혼들(Souls in Conflict), 1페니짜리 동전 두닢(Two A Penny), 그의 땅(His land) 같은 영화를 만들어 상영하였고, 신문에 고정 칼럼도 썼으며, 크리스채너티 투데이(Christianity Today)를 공동 창간하였다. 1960년 월간지 디시젼을 창간하였고, 테례비젼을 통해 복음 전도를 극대화하였다.

그의 저서 ‘하나님과의 화목’과 ‘불타는 세상’은 세계적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그는 철저한 성경적인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로 매우 다양한 청중을 동시에 감동시키었다.(강 병도. 기독 지혜사.교회사 대사전(3). p218. 1994.)







3. 부흥운동으로 야기된 문제들




부흥운동은 영적인 소생을 일으켜서 심령이 죽은 자들을 다시 살려 교회성장에 영향을 끼친 긍정적인 면도 있었으나 그에 따른 부정적인 측면도 있었다.

제2의 각성운동이 퍼질 무렵 미국의 회중교회는 발전과 극단의 두 길을 걸었다. 일부의 자유주의자들은 이 운동에 극렬히 반대하다가 아리우스의 그리스도론을 옹호하고 있던, 체닝(william Ellery Channing, 1780-1842)을 따라, 1815년 분립하여 유니테리언이란 이름으로 자립하였다.

이들은 삼위일체를 부인했지만 동시에 칼빈의 예정론을 매섭게 공격하여 구원은 바로 한사람 한사람의 성품과 신앙에 따라 결정된다고 역설하였다.




그러나 19세기 부흥의 영향으로 수백을 헤아리는 신학교가 세워졌다. 신학교의 설립은 어떤 면에서 많은 목회자를 배출하는 좋은 점도 있지만, 교회 분열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



침례교신자였던 농부 월리암 밀러(1782-1849)는 다니엘서를 읽다가 주의 재림의 날을 1843년이라 계산해 내고 추종자들을 모아 1845년 재림파를 창설하였다. 밀러의 영향을 받은 제7일 안식일 교회는 1863년에 정식으로 발족했고, 이 종파의 생성(生成)을 시초로 여러 종파가 생겨났다.

윌리암 밀러는 1816년 10월 12일, 그는 교회 집사의 요청으로 이사야 53장을 주제로 한 설교문을 낭독하던중 참을 수 없는 강렬한 감동을 경험하고 교회에 입교하였다. 그 후 그는 조직적인 성경연구에 착수하였다. 2년간 성경연구 끝에 도달한 결론은, 예수님의 재림이 복 천년 이후가 아니라 그 이전에 있었으며, 다니엘서 8장의 2,300일 예언기간은 다니엘9장의 70주일과 마찬가지로 주전 457년에 시작하여 1843년경에 마친다는 것이었다.

밀러는 55세부터 재림운동을 시작했다. 그는 재림운동이 활발히 진행되는 동안 사방에서 강연 요청이 왔다고 한다. 1833년 9월 (재림운동 시작한지 2년)에는 그가 사는 지역의 침례교회가 그와 상의도 없이 그를 목사로 선출하였다고 주장하였다.

1834년 이후 밀러는 모든 시간을 재림 기별의 전파에 바쳤다. 1836년에는 재림에 대한 16개의 강연이 단행본으로 묶여 출판되었으며, 그후 여러차례 중보되면서 재판되었다. 이리하여 그를 추종하는 자들이 나타났는데 이들을 밀러 주의자라 부른다.

그후 1840 재림 운동을 전개했으며, 1840년 2월에는 재림 운동의 기간지인 \\\\\\\"사인즈 오브 타임즈\\\\\\\"를 발간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문서 운동은 4년 동안 밤중소리, 진리의 소리, 서부의 밤중 소리, 경고의 나팔, 엘리야의 소리, 등 수십여개 간행물을 유도하였다.

1843년과 1844년에 절정을 맞았던 이 운동에는 700여명의 목사와 5만여명의 평신도가 가담하였는데, 교단별 분포를 보면 감리교가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나머지 여러 교파들이 섞여 있었다.




모르몬(Mormon)교는 스미드(Joseph Smith 1805-1844)라는 사람이 모르몬경을 성서 보충용 신비의 계시서라 하여 1830년에 뉴욕의 페이에트 교회에서 출발했으며, 여기에서 문제되는 일은 일부다처제, 집단생활, 교인들에 대한 철저한 경제적, 사회적 감시 제도로 특수성이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