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흥사연수원

CYBER SCHOOL OF THEOLOGY

부흥사연수원

제목대부흥운동의 태통 2022-07-01 14:50
작성자 Level 10
대부흥운동의 태통




가. 부흥운동의 원류(源流)




한국 교회의 부흥 운동의 패턴은 영미에서 건너온 선교사들의 복음이해와 신앙형태가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것들의 특징은 경건주의적(개인의 회심과 구원의 내적 확신을 위한 것)이고 주관주의적(회심과 확신은 개인의 경험을 통하여 얻는 것)이었다.



19세기 말엽 미국의 부흥 운동가 찰스 피니와 무디에게 감화를 받은 선교사들이 한국 교회에 들어와 부흥 운동을 일으킴으로 미국 교회를 닮게 되었다.

1903-1907년간에 일어난 대 부흥운동은 원산에 모였던 남 감리교의 선교사들이 선교 사업에 성과가 없음을 안타깝게 여겨 성령의 은혜를 받아야겠다는 생각으로 모여서, 성경 연구를 하고 기도하였을 때 강원도에서 선교사역을 하는 하디 목사가 참석하여, 성령의 체험을 하므로 써 같이 참석한 선교사와 한국인 신도들도 성령을 받아 큰 부흥운동에 불길이 일기 시작하였다.



다른 하나의 부흥운동의 흐름은 사경회를 통한 부흥이었다. 1909년에는 북 장로교회 선교 구역에는 모두 5만 명에 달하는 참가자를 가진 약 8백번의 사경회가 있었다.







나. 1907년 대 부흥운동




1907년 부흥운동은 정월 장대현 교회에 유력한 장로인 길 선주 가 기도중에 큰 소리로 “나는 도둑과 같은 인간이 올시다”라고 자기 죄를 자백함으로 발단(發端) 되었다. 이로 인하여 집회에 참석한 많은 사람들이 죄를 자백하고 눈물과 감격으로 밤새워 기도하기 시작하였고 이 감동의 기류가 며칠 계속되므로 시작되었다.(길 선주 장로가 설교를 하였다고 함) (한국기독교사 연구(김 양선. 기독교문사.1981,p87))







2.대 부흥운동의 양상과 성격




가. 대부흥운동의 양상




1907년에 일어난 대 부흥운동은 전국적으로 큰 파문(波文;어떤 일의 영향)을 일으켰고, 교회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어 주었다. 이 운동은 숭실대학교, 장로회 신학교, 성경학교와 중학교에서도 부흥운동을 일으켰다. 1907년 길 선주장로가 서울에 와서 경기도 지방회의 사경회를 통하여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서, 서울 지방 교회가 대 부흥을 일으켰다.

이 부흥운동은 장로교 중심의 평양에만 국한 된 것이 아니라 감리교에도 급격한 부흥을 일으켰다.

이 부흥운동은 성경공부와 심령부흥운동(기도 중심적)이었다. 그리고 전도운동이었다.

이 부흥운동은 성경에 대한 지식을 탐구하고자 하는 막대한 기독교인들이 생겼고 놀라운 결과를 가져왔다. 그 결과는?

①비기독교인 친척들에게 교회에 대한 관심을 갖게 하였고, 사경회를 더욱 왕성히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다.

②많은 사경회와 사경회의 목표를 철저히 성경에 두게 하였다. ③한국 교사들에게 사경회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④이러한 사경회는 1907년 대부흥회에 확고한 성서적 근거를 제공했다.

⑤사경회는 항상 복음 전파운동과 관련되었다.







나. 대부흥운동의 성격




1)신자가 된 사람들을 영적 소생시키려는 부흥운동이었다.

2)회개운동이었다.

3)사경기도회 적인 것이었다.

4)통성기도였다.

5)전도위주였다. 가가호호를 심방 전도하였다.







3. 대부흥운동의 결과




가. 긍적적인 면




1).한국에 기독교를 정착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한국 기독교회의 뿌리를 내리게 하였다. 신앙의 순수성을 유지하였다.

2).신도와 신도들 사이에 화해를 가져왔다. 교회의 연합정신을 강하게 하였다.

3).한국인 신자와 선교사들간에 이해 증진에 기여하였다. 한국인의 신앙지도력과 목회자들의 실력을 인정받게 하였다.

4).교인들 사이에 새로운 도덕관념이 생겨 종래의 봉건주의적 사상을 타파하였다. 높은 윤리 수준을 유지하였다.

5).성경 공부와 기도생활을 신앙의 기초가 되게 하였다. 새벽기도를 정착시키었다.(길 선주 목사와 박 치록장로가 장대현 교회에서 처음 시도함)

6).경이적인 교회 성장을 초래하였다.

(장로교는 1906년 교인수-54,987명에서 1907년 73,844명(34%)로 증가함. 감리교는 1906년 교인수-18,107명에서 1907년 39,613명(118%)로 성장.(송길섭. 한국 신학 사상사.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7.4 p157)






나. 부정적인 면




1).한국 교회가 정치에 무감각해지고, 몰역사성(沒歷史性)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되었다.(몰(沒)없음의 뜻을 강조하는 말)(김 우영, 기독교와 부흥회. 반석 문화사.1995. p44.)

이 운동을 계기로 선교사들은 한국교회의 관심을 교회 안의 일에만 가두어 두려고 하였다. 비정치화 작업을 펼쳤다.(송길섭. 한국 신학 사상사.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7.4 p159)



2).내용적인 면에서도 개인 구원만을 강조하므로 사회 구원은 도외시(度外視) 하는 경향을 보였다.(김 우영. 교회와 부흥회. 반석 문화사. 1995. p44)



결론적으로 1907년 대 부흥운동은 우리 기독교의 역사 가운데 큰 획을 그은 사건이며, 소극적이며, 단순했던 복음을 체계적이며 거국적인 종교 운동으로 끌어 올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교파를 초월하여 연합 운동의 차원으로 복음을 전파하는 역사를 이루었다.(김 우영. 교회와 부흥회. 반석 문화사. 1995. p44)